목록공부/광고 (5)
DevSSOM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Operant conditioning)는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들은 계속 수행할 것이고, 부정적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들은 회피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학습원리이다. 이 이론은 다른 어떤 이론보다도 행동 자체의 변화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미국 심리학자 스키너(Skinner)에 의해 정리되었다. 그는 원하는 행동에 대한 대가로 동물에게 체계적으로 보상을 주어 춤추기, 재주 부리기 등을 가르침으로써 조작적 조건화의 효과를 증명하려고 했다. 조작적 조건화의 기본 개념은 행동의 결과가 좋으면 그 행동을 또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때 결과가 좋다는 것을 보상(Reward)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또한 보상을 통해 어떤 행동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브랜드에 친근감을 부여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광고의 사막 속에서 브랜드 캐릭터는 한 방울의 오아시스이다. 제품의 장,단점의 직접적 홍보는 건조한데 반해 캐릭터들의 재치와 귀여움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전달한다. 때문에 마케팅 분야에서는 예전부터 브랜드 캐릭터에 관심을 가져왔다. 브랜드 캐릭터란 광고 기능에만 충실했던 기존 광고 캐릭터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단순 광고 전달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브랜드 인식 효과까지 전달하는 보다 확장된 의미를 갖는다. 브랜드 캐릭터는 소비자에게 캐릭터 특유의 친근함으로 브랜드 호감도와 신뢰도를 심어주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여 최근 마케팅 전략적 측면에서 각광받고 있다. 꾸준히 사랑 받고 있는 광고 모델로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의 활약을 뺴놓을 수 없다. 에너자이저 버니(Ene..
시연 시연(demonstration) 광고는 주로 TV광고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식으로 제품의 특징과 성능을 시각적으로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훌륭한 광고기법이다. 시각적으로 제품에 관한 것을 보여 준다는 것만큼 구체적이고 실체적이며 강력한 표현방법은 드물 것이다. 제품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라면 제품이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 사용하며, 어떠한 성능과 혜택을 주는지 눈으로(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잇는 기회인 것이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속담이 말하는 광고 기법이 바로 시연기법인 것이다. 시연광고의 특징은 비주얼 표현과 드라마틱한 내용 구성에 있다. 제품의 기능과 사용 등을 극적인 비주얼 표현을 통해 전달하는 광고 형태인 것이다. 예를 들면, 엑스캔버스 TV광고에서..
드라마광고 해설형식과 드라마형식 드라마광고의 분류를 최초로 시도한 Wells는 TV광고에 있어서 해설형식과 드라마형식의 차이점을 강조하였다. 해설(혹은 논증, argument)식 광고는 해설자(presenter)를 사용하여 수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제품에 대해 말하거나 보여주고, 제품이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며, 이를 위한 객관적 증거를 제시하고, 주장을 전개 하는 광고 형식을 의미한다. 해설식 광고에서 중요한 요소는 해설자의 존재인데 해설자는 인물이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경우 이외에도 음성(voice-over)이나 음악 등이 해설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이런 방식을 사용한 광고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소비자 설득과정에서 이성적(thinking or informational) 사고과정에 호소하고..
유머소구 유머광고는 발상의 기반이 유머인 광고를 의미한다. 유머란 익살스러운 농담이나 해학을 의미한다. 광고에서 유머소구(humor appel)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미국의 경우 TV와 라디오 광고의 약 11-24% 정도가 유머소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는 광고 기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머소구는 일반적으로 수용자의 주목을 끌고, 광고를 좋아하게 하고, 잘 기억하게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다시 말해 광고의 유머소구 때문에 수용자는 그 광고를 더욱 자세히 보고, 좋아하게 되고 기억하게 되며 이는 결국 광고 메시지의 내용을 수용자가 비교적 충분한 시간을 갖고 접하게 된다는 것이다. 유머광고의 효과 유머 광고는 보통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