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보기 (338)
DevSSOM
전역변수와 지역변수 def my_func(a): x = "Hello!" # 함수 안에서 x라는 변수를 만들었어 print(a) a = 3 my_func(a) # 3 print(x) # x를 출력하니까 에러가 뜸 Q. 왜 x가 출력되지 않을까? 함수 안에서 일어난 일은 함수 밖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 전역변수 : 함수 밖에서 정의한 변수. 그래서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는 변수. x = "Hello!" # 함수 밖에서 변수 x를 만들고 def my_func(): print(x) # x를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었어 my_func() # 그리고 my_func을 호출하면, Hello! 출력 print(x) # 함수 밖에서도 x를 출력해달라고 하면, Hello! 출력 지역변수 : 특정 구문(for문, 함수...) ..
메소드(Method) : 함수는 함수인데, 특정 자료에 대해 특정 기능을 하는 함수. 그래서 특정자료를 짝꿍으로 같이 써줘. 자료. 메소드이름( ) 형태로. my_list = [1, 2, 3] my_list.append(4) my_list.count(2) my_list.pop() 이렇게 my_list라는 특정 자료에 대해 .(점) 뒤에 붙어서 특정 기능을 하는 함수를 메소드라고 함. Q. 함수 vs 메소드 ? - 함수 : 특정 기능을 한다. 매개변수를 이용해 자료를 전달해줌. - 메소드 : 특정 자료와 연관지어 기능을 한다. my_list = [1, 2, 3] # 함수 len(my_list) sum(my_list) min(my_list) # 메소드 my_list.sort() my_list.pop() my..
함수 :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의 모임 함수 만들기 1. define(정의하다) 키워드를 이용해서 함수 정의. 2. 매개변수(함수 안에서 사용되는 변수)를 이용해서 함수 내부로 값을 전달. 3. 들여쓰기해서 명령 작성. 4. return을 이용해서 함수 외부로 값을 전달.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수행할 명령 ... return 반환값 def plus(a, b): c = a + b return c print(plus(3, 4)) # 7 Q. 왜 반환이 필요할까? 함수 내부에서 일어난 일은 함수 외부에서 알 수 없어. 그래서 반환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는 것. 연습문제 1 1. 함수 plus_print()을 만들어봐. 매개변수 : a, b 함수 안에서 a와 b를 더한 값을 출력. 반환값 없음. 2. ..
딕셔너리는 우리말로 -> 사전. 영한사전에 영어단어를 검색하면, 한글 뜻이 나오잖아. 이 때 영어단어와 한글 뜻은 하나의 짝꿍이야. 이렇게 짝꿍이 있는 자료형을 딕셔너리라고 해. 딕셔너리(Dictionary) 딕셔너리 자료형은 중괄호 { }로 묶어서 표현. 짝꿍은 { key : value }의 형식으로, key를 알면 value를 알 수 있음. - key : 열쇠처럼 자료를 꺼낼 수 있는 도구 - value : 딕셔너리에서 Key로 꺼낸 자료 dict_zero = {} dict_one = {"one":1} dict_three = {"one":1, "two":2, "three":3} person = {'name':'Som', 'age': 20} print(person['name'] # Som print(p..
여러 자료를 담는 자료형이 필요하면? 대부분 리스트를 이용함. 하지만, 리스트는 값이 바뀔 위험이 있어. 아래처럼 코드 한 줄로 바뀌잖아. my_list = ['l', 'i', 's', 't'] my_list[1] = 'a' print(my_list) # ['l', 'a', 's', 't'] 그래서 값을 바꿀 수 없으면서도, 여러 자료를 담을 수 있는 자료형 -> 튜플을 사용하는 것. 튜플(Tuple) 튜플은 소괄호 ( )를 이용해서 표시. tuple_zero = () # 빈 튜플 tuple_one = (1,) # 이게 튜플인데 원소가 하나밖에 없는 것 뿐이야 라는 걸 알려주기 위해 , 표시 tuple = (1, 2, 3, 4, 5) tuple = 1, 2, 3, 4, 5 # 괄호로 안 묶고 나열해서 써..
리스트.pop(인덱스) : 인덱스로 원소 꺼내기. 원소를 꺼냈으니까 리스트에서는 꺼낸 원소는 없어짐. 괄호를 비우면, 마지막 원소를 뽑아냄. ※ 단, 존재하지 않는 인덱스를 pop할 경우 오류 발생 my_list = [1, 2, 3, 4, 5] print(my_list.pop(0)) # 1 출력 print(my_list.pop()) # 5 출력 시퀀스.count(원소) : 시퀀스 안에 있는 자료 원소?의 개수 세기. cf) 시퀀스? : 리스트, 튜플, range, 문자열처럼 값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형을 시퀀스 자료형(sequence types)라고 부릅니다 my_seq = [2, 2, 2, 3, 4, 4] print(my_seq.count(2)) # 3 출력 쪼갤문자열.split(기준) : 문자열 -..
네이버 파트너스퀘어 온라인 아카데미 개인사업자가 알려주는 세무 강의 - 박세범 개인사업자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것 : 장부 국세청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때 사용할 수 있게 해준 두 가지 장부 1) 간편장부 2) 복식장부 * 간편장부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는 장부. 날짜에 따라 얼마를 썼고, 얼마를 벌었는지 기록한 것 근데, 문제는 이렇게 거래내역만 쭉 써서 1년치 자료를 그대로 국세청에 제출하면, 국세청이 그 많은 내역을 일일이 확인할 수 없으니까, 이 내용을 근거로 특정한 양식에다가 따로 정리를 해서 제출해야 되는 것. 그 양식이 '총수입금액 및 필요경비 명세서' 사업소득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총수입금액 : 사업장으로 들어온 돈을 다 합친 것. 매출액과 정부에서 지원금 받은 걸 다 합친 것 필..
네이버 파트너스퀘어 온라인 아카데미 개인사업자가 알려주는 세무 강의 - 박세범 개인사업자 *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라는 말을 잘 보면 '종합소득 + 세' 말 그대로 종합소득에 대한 세금. 종합소득이란 말을 쓴다는건 여러가지 소득을 합쳤다는 얘기고, 그건 소득에도 종류가 있다는 뜻. 그래서 종합소득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소득의 종류를 알아야 함. 소득세법에서는 개인의 소득을 8가지로 구분해 놓음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퇴직소득 양도소득 기타소득 종합소득세는 이 8가지 소득 중에서 6가지 소득에 대한 세금. 6. 퇴직소득과 7. 양도소득을 제외한 나머지 6가지 소득.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 세금계산에 대한 개념 모든 세금은 [ 과제표준 x 세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