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ython/기초 (24)
DevSSOM

Numpy란? : Numerical Python의 약자로, 파이썬에서 대규모 다차원 배열을 다룰 수 있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즉, 2차원 이상의 많은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해줌. Numpy 왜 써? 데이터의 대부분은 숫자 배열로 볼 수 있음. 예를 들어, 왼쪽 아래의 사진 이미지를 현미경으로 확대해서 본다고 하면, 하나의 네모를 픽셀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픽셀 하나하나의 밝고 어두운 정도인 명암을 숫자로 나타낼 수 있음. 가로 1차원과 세로 1차원의 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결국, 2차원이 됨. 오른쪽 아래의 파도처럼 생긴 그래프가 사운드 데이터라고 했을 때,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소리라고 할 수 있음. 이 곡선에서 각각 하나의 점을 찍어서 숫자로 나타낼 수 있는데, 그러면 1차원의 배열의 데이터가..
객체 : 성질과 할 수 있는 행동을 담은 자료. 지금까지 우리가 배워온 걸로는 성질은 주로 변수, 할 수 있는 행동은 주로 함수로 얘기되어 왔는데, 이 둘을 하나로 합친 자료인 객체라는 애를 만들어냄. 예를 들어서, 객체를 어피치라고 하면 [성질] 이름 : 어피치 나이 : 10대 후반 ~ 20대 초반 성별 : 자웅동체 [할 수 있는 행동] 춤추기 울기 웃기 클래스(Class) : 객체를 만들 수 있는 틀. 이모티콘이라면 말이야... 이름, 나이, 성별(성질)이 있어야 하고 엉덩이 흔들기, 모르는척 하기, 땡강부리기(행동)을 할 줄 알아야 돼. 그래서 이 객체를 찍어내는 클래스를 만들기 위해서 class 클래스이름: 으로 생성. class Emoticon 클래스 안에는 성질과 행동을 담아줘야 하니까 필드(..
반복문 : 어떠한 '조건'이나, '범위 내'에서 어떠한 명령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 ex. 숙제를 12시 30분까지 하겠어! 숙제를 10페이지만큼 하겠어! for문 : 원소로 반복하는 방법. 시퀀스의 원소를 하나씩 변수에 넣어가면서 명령 실행. for문에 들어갈 명령들은 같은 들여쓰기로 구분되고, 명령은 len(시퀀스)번 만큼 실행됨. for 변수 in 시퀀스: # 시퀀스에서 각각의 원소에는 인덱스가 있어 # 그 인덱스로 나눠진 원소들을 변수에 하나하나 넣어가면서 명령을 실행한다는 의미 # 그리고 그 for문 안에는 실행시킬 어떤 명령도 함께 주어지는것 이 for문은 '범위'에 관련된 반복문이야. 그 범위는 파이썬에서 시퀀스로 주어짐. 그리고 이 시퀀스 안에서 반복이 일어나는 것. ex. [1, 2,..
시퀀스 자료형 : 순서가 있는 자료형. 리스트, 문자열, 튜플 등이 이에 속함. a = "Once" # 문자열. 순서가 있으니까 >> 시퀀스 b = ['T', 'W', 'I', 'C', 'E'] # 리스트도 순서가 있으니까 >> 시퀀스 c = (1, 2, 3, 4, 5) # 튜플도 순서가 있으니까 >> 시퀀스 시퀀스 자료형의 특징 1. 원소간의 순서가 존재 -> 인덱싱 / 슬라이싱이 가능. a = "Once" b = ['T', 'W', 'I', 'C', 'E'] print(a[1]) # n print(b[2:4]) # ['i', 'c'] + 인덱싱 / 슬라이싱을 할 때 음수를 넣거나, 자리를 비우는 것도 가능. a = "Once" b = ['T', 'W', 'I', 'C', 'E'] print(a[-1]..
list.append(넣을자료) : 자료를 리스트 마지막 원소 뒤에 추가. 온리 한 개의 자료만 넣을 수 있음. a = [] b = ['a', 'b', 'c'] a.append(10) # a 리스트에 10 추가 b.append('d') # b 리스트에 'd' 추가 print(a, b) # [10] ['a', 'b', 'c', 'd'] list.insert(인덱스번호, 넣을자료) : 리스트의 몇 번째 인덱스 자리에 자료를 추가. 온리 한 개의 자료만 넣을 수 있음. c = [1, 2, 4, 5] c.insert(2, 3) # 위치, 값 print(c) # [1, 2, 3, 4, 5] list.remove(뺄 자료) : 리스트에서 자료를 빼줘. 뺄 자료가 중복일 땐, 처음 나오는 애만 제거. d = [3, ..
if문 조건이 True일 때, 명령이 실행됨. if문에 들어갈 명령들은 같은 들여쓰기로 구분. ex) 만약 i == 1이면, i를 출력하라 if 조건 명령 if 조건: .... if-else문 조건이 True면 if문, False면 else문 실행 if 조건: else: if-elif문 else if를 줄여서 -> elif. 조건 1이 True면 if문, 조건 1이 False이면서 조건 2가 True면 elif문 실행 if 조건 1: elif 조건 2: if-elif-else문 if 조건 1: # 조건 1이 True면 do A # A를 실행하고 elif 조건 2: # 조건 1은 False and 조건 2는 True면 do B # B를 실행하고 elif 조건 3: # 조건 1은 False and 조건 2도..
논리 자료형 (Boolean Data) 참(True) 혹은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 비교 연산자 숫자나 문자의 값을 비교하는 연산자. 주어진 진술이 참이면 True, 거짓이면 False. print(3 = 10) # False print(5 != 10) # True == 같다 != 다르다 > 왼쪽이 더 크다 = 왼쪽이 같거나 크다 >> True 2. OR (True인게 있어?) : 논리들 중 True가 존재하면 True print(3==4 or 4 True 3. NOT (이거랑 반대로) : 논리값을 뒤집는거야. print(not 3==4) # False에 Not을 붙였으니까 이거랑 반대로 >>> True
패키지 : 모듈을 폴더(Directory)로 구분해서 관리하는 것 project/ script/ sound/ audio/ ... # 프로젝트라고 하는 폴더 안에 스크립트, 사운드, 오디오라는 폴더가 있어 # 그리고 폴더를 쭉쭉 들어가면 .py 라는 여러 파일들이 있을거야. # 이때 .py가 모듈이고 # 모듈들을 폴더로, 계층적으로 관리하는게 패키지 Q. 왜 패키지가 필요한데? 모듈을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해서임. 파이썬 파일을 관리할 때 어떤 애들은 이미지 관리하고, 어떤 애들은 공지사항 관리하고, 어떤 애들은 뉴스 관리할 때 쓰인다고 해. 근데, 얘네가 한 폴더 안에 중구난방으로 있으면 복잡하고 사용하기에 번거로워지잖아. 그래서 비슷한 애들끼리 폴더로 묶어서 넣어줘. Q. 모듈 vs 패키지? - 모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