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통계
통계 기초 - 유의수준 p값 (p-value)
데브쏨
2021. 8. 12. 22:20
반응형
p값 (p밸류)
- p-value : probability value -> 확률값.
-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얼마일까?"에서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바로 p값.
왜 p값은 항상 0.05보다 작아야 할까? 혹은 작기를 바랄까?
- p값은 확률값이기 때문에 p값이 가질 수 있는 값은 0부터 1까지. 0.05를 %로 바꾸면 5%의 확률.
- p값이 0.05보다 작다는 것은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5%보다 작다는 의미. 즉, 이 사건이 우연히 일어났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는 것. 분명히 뭔가 이유(인과관계)가 있다고 추정하는 것.
- 여기서 기준이 되는 5%는 쉽게 말해, "이정도면 우연은 아닐꺼야" 라는 수준의 정도.
- p값이 0.05보다 작다는 것 = 어떤 사건이 우연히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 = 뭔가 이유(인과관계)가 있다 = "유의하다" 라고 해석하는 것.
- p값이 0.05보다 크다는 것 = 어떤 사건은 우연히 발생한 것이다 = 어떤 의미나 이유(인과관계)가 없다
728x90
반응형